[GOOD 3093]

독백

Kangherdalnim (강허달림)

아티스트 스토리    >
소비자가격

18,000 won
(구매시 1,800원 적립)

카테고리 재즈

이 아티스트의 다른앨범

  • 이 아티스트의 다른앨범이 없습니다.

날것의 소리, 거침없이 달린다! 블루스 퀸 강허달림 독집앨범 대한 민국 최고의 블루스 밴드 신촌블루스에서 보컬로 활동했던 강허달림은 블루스 팬들에게는 이미 익숙한 이름이다. 잘 알려진 여러 장르의 클래식들이 그녀의 입을 통해 나오면 전혀 다른 곡이 되곤 했다. 그녀의 특이한 발성법은 어떤 노래든 강허달림의 노래로 만들어버리는 마법을 부린다. 그러나 이런 그녀의 곡 해석 능력 외에 송 라이팅 능력은 그 동안 숨어있었다. 그러던 그녀가 이번 앨범 <독백>에선 전곡의 작곡과 작사를 맡아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주로 재즈 아카데미에 다니던 시절 작곡한 곡들이다. 몇 차례 무대에 올려져 뜨거운 반응을 얻었던 곡들이지만, 아직 음반으로 발매된 적은 없었다. 그녀는 이번 음반에서 자신의 소리를 제대로 담아내기 위해 스스로 프로듀싱까지 해냈다. 강허달림의 입지를 증명하듯 다양한 장르의 베테랑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한 음반이다. 기타는 재즈 아카데미 동기이자 오션스필드, AK Project등의 밴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안동성이 연주했다. 김종서 밴드를 비롯해 여러 음반들에서 활발한 세션 작업을 하고 있는 베이시스트 박순철의 이름도 눈에 띈다. 인기 재즈밴드 Westory의 드러머 정태호가 타이틀 곡 ‘독백’을 비롯한 전곡의 드럼을 쳤다. 그 외에 콘트라베이스에 남영국, 키보드에 송석철등 이 바닥의 내로라하는 ‘꾼’들이 모두 모여 강허달림의 ‘독백’을 도왔다. 첫 곡 ‘춤이라도 춰볼까’는 인상적인 기타 인트로에 이은 센스 있는 드러밍이 맛깔스러운 곡이다.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그녀의 삶이 잘 녹아 들어있다. 두 번째 곡 ‘독백’은 드라마틱한 구성이 돋보인다. 끝없이 자신을 찾아나서는 사람들의 자화상을 표현했다고 한다. 강허달림의 다양한 음악적 스펙트럼이 묻어나는 ‘지하철 자유인’은 락 기타의 시원한 리드가 앨범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오직 가수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무작정 상경한 강허달림이 힘겨운 시간을 보내던 시절 썼던 ‘버려진 꿈’은 단촐 하면서도 감성적인 어쿠스틱 기타와 강허달림의 독특한 음색이 가장 잘 살아 있는 곡이다. profile 서울재즈 아카데미 1기 보컬과 졸업 페미니스트 밴드 "마고"보컬 Blues Band "Full Moon" 보컬로 KBS 위성 '재즈 클럽'공연 'Just Blues','Big Apple','Hot House Jazz Club','화.수.목' 'EVANS',Jazz Story'등 다수 라이브 클럽 활동 2003~ 2004 신촌 Blues 보컬로 활동

첫 앨범 ‘독백’ 낸 강허달림 “나만의 목소리 몸 저 밑바닥서 찾아냈죠” ‘신촌블루스’의 강허달림(31)은 블루스의 진국을 우려내는 가수다. 그의 목소리는 노동에 부르튼 손처럼 거칠지만 따뜻하다. 가는 떨림에도 충분한 무게감이 실린다. 지난 11일 서울 홍익대 앞 클럽 ‘디비지비’는 30~40대 120여명이 앉거나 서서 빼곡히 채웠다. 푸른 빛 아래 선 강허달림은 블루스곡 ‘센서티브 카인드’로 감정을 끌어올렸다. 바닥부터 길어낸 목소리는 귀와 가슴 속에 ‘쿵’하고 내려앉았다. 이어 ‘아이 캔트 스탑 러빙 유’로 신바람을 내는데, 리듬으로 휘젓는 힘은 40대부터 어린아이까지 깡총거리게 할 만했다. 이날 그는 자작곡 ‘독백’을 부르며 울었다. 그의 이름을 내건 첫 미니앨범 <독백> 발매 기념 공연인 까닭이다. 솔직히 이 앨범에 담긴 곡들은 그리 세련되지 않다. 그에게 으레 기대하게 되는 블루스도 아니다. 첫곡 ‘춤이라도 춰볼까’는 ‘수지 큐’처럼 신나지만 단순한 편이다. ‘지하철 자유인’에는 록의 느낌이 살짝 버무려져 있고, ‘버려진 꿈’은 어쿠스틱 기타와 맞춘 순박한 읊조림이다. 그래도 울림이 깊다. 진솔함이 농익은 목소리를 타고 전달된다. “난 항상 그 많은 사람들 속에 속하진 못했었지.”(독백) 그의 고향은 전남 승주군 용계면 죽전리다. 일급수에만 사는 물고기와 메뚜기가 지천이던 이 곳은 지금은 수몰되고 없다. 소작농인 아버지는 때때로 판소리 가락을 흥얼거렸다. 6남매 가운데 막내인 그는 ‘두만강 푸른 물에’ 등을 불렀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처음 라디오를 듣고 가수가 되리라 결심했고 19살에 홀로 서울로 왔다. 서울 생활은 노동이 8할이었다. 장판·상표 만드는 회사 경리로 시작했다. 서울재즈아카데미 1기로 입학한 뒤부터는 아르바이트 행군이었다. 신문배달은 기본. 슈퍼마켓, 정육점, 온갖 식당 등이 그의 일터가 됐다. 이 앨범에 담긴 곡들 대부분은 그때 코드도 제대로 몰랐던 그가 벽에 흰 종이를 붙여두고 끄적거려둔 것들이다. 목소리는 거저 떨어지지 않았다. 재즈아카데미 시절 혼자 찾은 것이다. 처음엔 ‘아’ 소리를 만들고 차근차근 자음으로 넘어갔다. 나머지 시간엔 판소리를 불렀다. 여섯 달을 그렇게 보냈다. 목의 떨림, 배의 감각을 관찰했다. 목은 쉬었다 났기를 반복했다. “힘 없이 퍼지는 소리가 아니라 몸 저 밑에서 잡혀 쏟아져 나오는 감을 어느 순간 알게 됐어요.” 재즈아카데미에서 ‘한상원 블루스 앙상블’의 연주에 맞춰 우연히 노래한 게 블루스와의 첫 만남이다. 페미니스트 밴드 ‘마고’에서 보컬도 했던 시절이다. “리듬에 몸이 쏠렸어요. 남도 민요와 별로 다르지 않았어요.” 인연은 블루스 밴드 ‘풀문’까지 이어졌다. 30살에 그는 바닥을 경험했다. ‘풀문’이 해체된 뒤였고 여전히 13시간씩 아르바이트로 식당일을 해야 했다. “10년 넘게 열심히 살았는데 달라진 게 없었어요. 처음으로 스스로에게 물었어요. 왜 음악을 하니? 답이 없더라고요.” 고향으로 돌아간 그는 골방에 처박혔다. 어머니는 늘 그랬듯이 이것저것 따져 묻지 않고 때 되면 밥만 줬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한 명씩은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이 꼭 있었어요. 나 혼자고 나만 상처 받는다고 생각했는데….” ‘신촌블루스’의 엄인호를 만났고 2003년 밴드의 보컬이 됐다. “화려한 서울 사람들이 부러웠어요. 그래서 더 바둥거렸던 것 같아요. 자신감이 없으니까 과장해서 날카롭게 행동하고요. 소통하는 방식을 몰랐어요. 30살에 철 들고 난 뒤부터 자연 속에 살아본 ‘촌년’인 게 자랑스러워졌어요. 이번 앨범은 제 삶이 틀리지 않았다고 스스로에게 확신을 주는 작업이에요. 자존감의 버팀목을 튼튼히 세우는 거죠.” 그의 본명은 강경순이다. ‘순’자가 나약해 보인다고 생각해 20대 때 앞으로 달려가자고 달림으로 바꿨다. 성은 부모성을 같이 쓴 것이다. “지금은 ‘순’자가 좋아요. 편안하고 순리대로 가는 느낌이 있잖아요. 꼭 빨리 달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그는 재즈클럽 ‘화수목’과 ‘재즈스토리’에서 정기적으로 공연한다. 이제 다른 아르바이트는 하지 않아도 되고 이렇게 노래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세상에 태어난 게 얼마나 축복인지 몰라, 아무 생각도 필요 없어, 내 모습 그대로….”(버려진 꿈) 글 한겨레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Comments

    Reviews

       

      코멘트작성

      ×

      제품문의

      ×

      PLAYER 이 앨범에 수록된 음원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독백
      Kangherdalnim (강허달림)

      DISK : 1

      • 1. 춤이라도 춰볼까? 0:00
      • 2. 독백 0:00
      • 3. 지하철 자유인 0:00
      • 4. 버려진 꿈0:00